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WarGame
- 리버싱
- 알고리즘
- 시스템
- ftz
- 소프트웨어보안
- 웹
- XSS
- 시스템해킹
- webhacking
- 네트워크
- dreamhack
- 웹해킹
- network
- TCP
- Web
- bee-box
- 모의해킹
- 드림핵
- 해킹
- 비박스
- reversing
- System
- 소프트웨어
- 네트워크보안
- Webhaking
- hacking
- 순서도
- CodeEngn
- 워게임
- Today
- Total
목록Kali (2)
Without a Break

Desktop 디렉토리로 경로를 바꿔준다. security.txt를 생성하고 내용을 입력 후 Esc > :wq를 입력해 저장하고 나온다. *a키를 눌러서 입력 cat 명령을 통해 제대로 입력되었는지 확인해준다. 현재 ftp의 서버는 xubuntu이기 때문에, xubuntu의 IP주소로 ftp를 실행한다. 실행 후, passive auto 명령을 입력해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의 포트로 접속해준다. 경로를 Desktop으로 이동해준다. put명령으로 security.txt 파일을 xubuntu 서버(ftp 서버)로 이동시킨다. Xubuntu로 가보면 바탕화면에 security.txt 파일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Xubuntu(FTP 서버)에 있는 파일을 Kali(클라이언트 서버)로 불러오는 실습을..

주소 변경 Kali IP 변경 IP 주소를 192.168.100.128로 변경해준다. (Gateway 주소는 192.168.100.2로 변경해준다.) ifconfig 명령으로 IP 주소가 제대로 바뀌었는지 확인한다. Xubuntu IP 변경 (NET8의) IP 주소를 192.168.100.20으로 바꿔준다. ifconfig로 IP주소가 잘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 TCP 포트 스캔 ping으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 연결 상태는 확인할 수 있으나 공격이 가능한 포트를 알기는 어렵다. Kali host OS로 nmap을 사용하여 열려 있는 포트를 확인한다. 996개는 닫혀져 있고 4개는 열려있는 포트임을 알 수 있다. Xubuntu에서 와이어 샤크를 실행하고 ens33을 선택해준다. Kali에서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