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웹해킹
- bee-box
- hacking
- Web
- ftz
- 시스템
- webhacking
- Webhaking
- dreamhack
- TCP
- XSS
- 알고리즘
- System
- 해킹
- 소프트웨어보안
- 비박스
- 순서도
- CodeEngn
- 리버싱
- 네트워크보안
- 워게임
- 드림핵
- reversing
- 네트워크
- 시스템해킹
- 모의해킹
- WarGame
- 웹
- 소프트웨어
- network
- Today
- Total
목록Network/자율주행 (7)
Without a Break

V2I란? 차량과 도로 인프라 간의 무선 데이터 교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시스템에 의해 활성화 차량에서 생성된 교통 데이터를 캡쳐해 운전자에게 안전, 이동성, 환경 관련 조건 정보 무선으로 제공 (무선 양방향 통신) 도로 인프라(차선, 표지판 및 신호등) 구성요소 → 정보 제공 in 차량 (무선) 광범위한 안전, 이동성, 환경적 장점을 제공 가능 왜 V2I? 자율주행 차량의 장점을 최대한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인프라가 갖추어져야 함 사고, 교통 체증, 급커브 및 권장 속도에 대한 정보 전달 및 공유 등 중복성 안전성 및 이동성이 향상됨 모든 차량 시스템이 함께 작동하여 노면 표시, 교통 표지판 및 시설물의 가독성을 개선하여 안전을 향상 자율주행 차량의 돌발사고 방지를 위한 V2I 기반 사고..

V2V란? : 차량 간 통신. 차량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전용 단거리 통신(DSRC)을 위해 설계된 자동차 기술로, 모든 형태의 무선 구성 요소를 활용하고 도로상에서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VANET(Vehicle Ad Hoc Network)를 형성한다. *애드혹 네트워크 : 고정된 기반 망의 도움없이 이동 노드들간에 자율적으로 구성되는 망으로, 네트워크에 자율성과 융통성을 부여한 네트워크 운전자에게 필요할 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충돌 가능성에 대한 경고를 제공 V2V 통신을 통해 차량은 인접한 거리에 있는 다수의 차량과 다양한 메시지를 송수신하게 됨 보안 시스템은 개인 정보를 익명으로 유지하고 차량을 추적하지 않음 운전자는 시각적 디스플레이, 시트 진동 또는 톤을 통해 잠재적인 위험을 알려주는 경..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 지능형 교통체계; 교통, 전자, 통신, 제어 등 첨단기술을 도로, 차량, 화물 등 교통체계의 구성요소에 적용하여 실시간으로 교통정보를 수집, 관리, 제공하는 시스템 ex) 버스 도착 안내 시스템, 교차로에서 교통량에 따라 자동으로 신호가 바뀌는 시스템, 하이패스 등 C-ITS(Cooperativ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 V2X 통신기술을 이용해 전방의 교통사고 및 장애물과 주변 차량정보를 공유하여 위험상황을 피할 수 있도록 사전에 경고하는 미래형 교통체계 시스템 센서기반의 자율주행자동차의 한계 극복을 위해 C-ITS 개발 필요 => C-ITS의 대상이 되는 차량, 인프라, 사람, 네트워크 간 통신을 위해 통..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이란? : 차량 내부 통신 분야에서 사용되는 HW & SW 프로토콜 중 하나로서, 복잡한 차량 내부에서 다양한 기기들이 통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저속 통신 프로토콜 (LIN Bus와 같은 의미) 특징 내용 통신 방식 단방향 통신 전송 속도 20kbps 이하 통신 거리 수 m 이내 케이블 타입 단선 케이블 노드 수 최대 16개 프로토콜 Master-Slave 방식, CSMA/CR 프로토콜 사용 용도 저속, 단순 제어 기능에 적합 응용 분야 자동차의 전기/전자 시스템, 기타 산업용 제어 장치 등 LIN의 주요 특징 LIN의 노드 체계 LIN은 노드 체계에 있어 Master-Slave 구조를 사용한다. Master 노드는 다수의 Slave ..

CAN(Controller Area Network)이란? 차량 내에서 호스트 컴퓨터 없이 마이크로 컨트롤러나 장치들이 서로 통신하기 위해 설계된 표준 통신 규격 CAN 통신의 이해 특징 노드의 주소에 의해 데이터가 교환되는 것이 아니라 메시지의 우선순위에 따라 ID(IDentifier)를 할당하고, 이 ID를 이용해 메시지를 구별하는 방식을 사용 자신에게 필요하다면 받아들이고, 아니라면 무시 메시지 전송 시, 에러가 감지되면 자동적으로 해당 메시지를 즉시 재전송 실시간으로 결함이 있는 노드를 감지해 해당 노드를 비활성화 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신뢰성을 보장 메시지 충돌 시 우선순위가 높은 메시지(이 때, 더 낮은 ID 번호가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짐)가 먼저 전송 꼬인 2선(Twist Pair Wire, *..
커넥티드카 자동차 서비스 패러다임의 변화 커넥티드카는 소프트웨어 중심의 달리는 고성능 컴퓨터로써의 기능까지 수행한다. 차량 내/외부와의 연결성을 강화하여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고, 그 정보를 바탕으로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며 운전자와 동승자의 안전성과 편의성에 기여할 것을 목표로 개발되고 있다. 즉, 자동차는 외부와의 연결성이 없던 Stand Alone 방식에서 외부와의 연결성을 점점 높인 Networked 방식의 커넥티드카로 변화하고 있다. 이미 국내//외에서는 이러한 커넥티드카 기능을 기본으로 탑재한 자동차들이 출시되고 있다. 외부와의 연결성을 강조한 커넥티드카 커넥티드카란? 자동차와 IT 기술을 융합해 상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자동차를 의미한다. 커넥티드카는 자동차 내/외부의..
자율주행자동차 자율주행자동차란? 운전자의 개입 없이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주행 상황을 판단하여 차량을 제어함으로써 스스로 주어진 목적지까지 주행하는 자동차 자율주행자동차 원리 자율주행자동차의 기본적인 작동: '인지-판단-제어'의 3단계 단계 설명 인지 레이더•라이더•GPS•카메라 등 차량에 장착된 센서와, V2V-V2I 등 외부와의 통신을 통해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인지한다. 판단 인지된 정보를 해석하여 주행상황을 판단하고, 사람을 대신해 조향 및 가•감속을 결정해 차량 스스로 경로를 따라 운행하도록 한다. 이 때 장애물•교통신호 등을 반영하여 적절한 주행 경로를 산정한다. 제어 제어 시스템을 통해 결정된 판단을 실제 주행에 반영하기 위해 운전 시스템을 제어한다. (실질적인 차량 제어)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