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알고리즘
- 워게임
- 드림핵
- hacking
- WarGame
- 네트워크
- bee-box
- 웹해킹
- 소프트웨어
- network
- 리버싱
- reversing
- 시스템해킹
- webhacking
- TCP
- XSS
- 해킹
- System
- Web
- ftz
- 시스템
- dreamhack
- 소프트웨어보안
- 비박스
- CodeEngn
- Webhaking
- 네트워크보안
- 모의해킹
- 웹
- 순서도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쉘코드 (1)
Without a Break
Stack buffer overflow 이론
쉘코드 ① 공격자 입장에서는 무한한 가능성 => 모든걸 다 알 수 있기 때문 ② Set-UID까지 추가되면 특정 시스템에 대해 신같은 존재 => 원하는 걸 다 할 수 있기 때문 Stack 변수들의 악용 지역 변수들은 스택에 연속하여 위치 => 만일 특정 변수의 크기를 넘어서는 값이 쓰여지면 다른 영역에 corruption(변질) 발생 가능 *다른 영역의 예시 ① 다른 지역 변수 ② 이전 함수의 EIP ③ 리턴 주소 ④ Arguments 값 ⑤ 다른 함수의 영역 지역변수의 corruption 지역변수를 오염시키는 상황의 난해함 변수의 위치가 알려지지 않음 효과가 응용코드의 동작에 의존적 => 좀 더 예측가능하고 보편적인 공격을 위해서는 스택 프레임의 고정된 정보를 corrupt시키는 것이 좋음 (Frame..
Software/소프트웨어보안
2022. 11. 4. 22:44